분류 전체보기 (34) 썸네일형 리스트형 최병훈, 채휘영, 장제훈, & 편석준 (2025). 도심지 지반조사 자동화 및 정량화를 위한 3차원 GPR 자료 수치 모델링. 한국지구물리 ∙ 물리탐사학회 봄 학술대회. 도심지 지반조사 자동화 및 정량화를 위한 3차원 GPR 자료 수치 모델링3D GPR Numerical Modeling for Automation and Quantification of Urban Subsurface Investigation Abstact국내외에서는 도심지 지반조사를 위해 비파괴 탐사 기법이면서 효율적인 탐사가 가능한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GPR)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차량형 다채널 GPR 장비를 통해 취득된 대용량 자료는 해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전문가의 주관에 따라 해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GPR 자료 해석의 자동화 및 정량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반의 해석 기법 연구가 활발히 수.. Choi, B., Pyun, S., Choi, W., & Cho, Y. (2025). Synthetic seismic data generation with pix2pix for enhanced fault detection model training. Computers & Geosciences, 105879. Synthetic seismic data generation with pix2pix for enhanced fault detection model trainingHighlightSynthetic data generation is optimized to enhance fault interpretation.Pix2pix model replicates texture-related attributes to closely resemble field data.This approach minimizes the effort required for field data analysis.AbstractManual fault interpretation from seismic data is time-consuming and s.. Byunghoon Choi, Hwi-young Chae, & Je-hun Jang. (2024). Efficiency Improvement of Bridge Deck Condition Assessment using Deep Learning-based GPR Data Analysis Model. SEG workshop Geophysical Aspects of Smart Cities. Efficiency Improvement of Bridge Deck Condition Assessment using Deep Learning-based GPR Data Analysis ModelIntroductionBridge decks are subjected to various detrimental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raffic loads, rain, and chloride infiltration, which contribute to progressive damage and deterioration. As the number of aging bridges is expected to rise, the need for effective maintenance an.. 최병훈, 채휘영, 장제훈, & 편석준. (2024). 교량 바닥판 상태 평가 작업 효율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 지표투과레이더 자료해석. 한국도로학회 가을 학술대회. 교량 바닥판 상태 평가 작업 효율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 지표투과레이더 자료해석Deep-Learning-Based Ground Penetrating Radar Data Interpretation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Bridge Deck Condition Assessment Abstact 국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안전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보수 및 보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교량 바닥판은 교통하중과 염화물 침투 등 다양한 유해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지속적인 열화가 발생하고 있다. 국내외에서는 교량 바닥판 유지보수 의사결정을 위해 비파괴 조사 방법 중 하나인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GPR) 탐사가 주로 활용되고.. 최병훈, 채휘영, 장제훈, 최우창, & 편석준. (2024). 미세 조정을 통한 도심지 도로 지하공동 탐지 목적 GPR 자료해석 모델 성능 향상. 한국지구물리 ∙ 물리탐사학회 가을 학술대회. 미세 조정을 통한 도심지 도로 지하공동 탐지 목적 GPR 자료해석 모델 성능 향상Fine-Tuning of a GPR Data Interpretation Model to Enhance Cavity Detection in Urban Roads Abstract최근 도심지에서 지반침하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사회적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노후화된 지하시설물이나 시공 불량으로 형성된 지하공동으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전 탐지와 신속한 복구가 필요하다. 국내외에서는 지하공동 조사를 위해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고 효율적인 탐사가 가능한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GPR)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차량형 다채널 장비로 취득된 대용량 탐사 자.. 강호진, 편석준, 최우창, & 최병훈. (2024). 단시간 푸리에 변환을 이용한 미소 진동 신호 분류. 한국지구물리 ∙ 물리탐사학회 가을 학술대회. 단시간 푸리에 변환을 이용한 미소 진동 신호 분류Microseismic Signal Classification using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bstact미소 진동 모니터링을 이용한 광산 안전 관리는 광산 붕괴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안전 모니터링의 관점에서 미세 균열 발생 빈도를 정확히 측정하고 진원지를 찾아서 붕괴 위험성을 예측하는 것이 미소 진동 모니터링에서의 핵심 과제이다. 하지만 광산 환경에서는 다양한 작업으로 인해 여러 신호가 동시에 기록되기 때문에, 붕괴와 관련된 미소 진동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른 신호와 미소 진동 신호를 분리하는 신호 분류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신호 .. 최병훈, 채휘영, & 장제훈. (2024). 딥러닝 기반 GPR 자료해석 모델을 이용한 교량 바닥판 상태평가 작업 효율 향상. 한국지구물리 ∙ 물리탐사학회 봄 학술대회. 딥러닝 기반 GPR 자료해석 모델을 이용한 교량 바닥판 상태평가 작업 효율 향상 Efficiency Improvement of Bridge Deck Condition Assessment using Deep Learning-based GPR Data Analysis Model Abstract교량 바닥판은 교통하중과 염화물 침투 등 다양한 유해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손상 및 노후화가 진 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와 안전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교량 바닥판의 상태 평가를 위해 효율적인 탐사가 가능한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GPR) 장비를 활 용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철근 부식의 원인은 균열 및 초기결함으로부터 유입된 수분과 염 화물에 밀접한 .. 최병훈, 채휘영, 장제훈, & 유경원. (2024). 딥러닝 기반 자료해석 모델 학습을 위한 교량 바닥판에서의 GPR 탐사 수치모델링. 한국지구물리 ∙ 물리탐사학회 봄 학술대회. 딥러닝 기반 자료해석 모델 학습을 위한 교량 바닥판에서의 GPR 탐사 수치모델링 Numerical Modeling of GPR Survey on Bridge Deck for Training Deep Learning-based Data Analysis Models Abstract 국내에서는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이 노후화되면서 효과적인 보수·보강을 통한 안전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교량의 주요 부재인 콘크리트 바닥판의 경우 교통하중, 우수 및 염화물의 침투 등 열 악한 환경조건에 직접 노출되어 지속적인 열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기존 조사 방법인 육안점검, 코어채취 등은 바닥판 전체에 대한 조사가 제한적이며, 열화 현상이 진행되었다 하더라도 아스팔트 포장의 표면 파손으로 이어지기 전까지 탐지가 어.. 이전 1 2 3 4 5 다음